Light's Writings 빛이 쓰는 글

고정 헤더 영역

글 제목

메뉴 레이어

Light's Writings 빛이 쓰는 글

메뉴 리스트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미디어로그
  • 위치로그
  • 방명록
  • 분류 전체보기 (22)
    • 빛 그림 (15)
      • 풍경 (4)
      • 인물 (2)
      • 접사 (3)
      • 야생화 (6)
    • 삶의 지혜 (0)

검색 레이어

Light's Writings 빛이 쓰는 글

검색 영역

컨텐츠 검색

a99

  • 민들레 공동체

    2015.05.28 by 소겸

  • 독일의 국화: 수레국화

    2015.05.28 by 소겸

  • 물잠자리 다리 털이 보긴 안좋아도 꼭 필요하다

    2015.05.28 by 소겸

  • 타슈켄트 대지진의 아픔에서 회복하다

    2015.05.27 by 소겸

  • 춤추며 날리는 웃음이 아름답다

    2015.05.26 by 소겸

민들레 공동체

민들레 공동체 민들레 꽃은 100~200개의 꽃의 모여있는 통꽃입니다. 이 각각의 꽃은 한개씩 씨앗을 만들어 흰 날개를 달아 바람에 실어 퍼뜨립니다. 바람이 불고 비가 오던날 민들레 씨앗에 맺혀 있는 물방울을 보니 너무 아름답더군요. 간밤에 내린 비를 잘 이겨낸 이 씨앗들은 물기를 잘 말린다음 날개를 펴고 다시 멀리 날아갈 것입니다. 우리 인생의 어려운 역경에도 굴하지 않고 내 해야할 일을 감당해내는 이 씨앗들이 모여서 이룬 꽃 한송이는 아름다운 공동체입니다. ↓ 아래의 공감 하트(♡)를 클릭해 주세요. 선생님의 격려가 많은 도움이 됩니다!

빛 그림/야생화 2015. 5. 28. 08:55

독일의 국화: 수레국화

수레바퀴 국화라고도 하는 이 꽃은 독일의 국화라 유명하다. 이 야생화는 그리스 로마시대부터 등장하는 역사가 깊은 꽃으로 작은 공간에서도 잘 자라나는 잡초에 불과한 꽃이었다. 영어이름이 센토레아(Centorea)이며 독일어로 Kornblume라고 하는데, 꽃말은 행복, 황제의 꽃, 유쾌이다. 1800년대에 빌헬름 1세가 된 루이제 왕비의 아들은 어린시절 이 파란 수레국화를 좋아했는데, 나중에 황제가 되어 자신이 사랑하는 꽃이라 선언하면서 독일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. 황제의 생일날 독일의 많은 도시에서 황제주의자들은 이 꽃을 따서 옷단에 달았다고 한다. * *; https://www.culturecontent.com/content/contentView.do?search_div=CP_AGE&..

빛 그림/야생화 2015. 5. 28. 00:30

물잠자리 다리 털이 보긴 안좋아도 꼭 필요하다

물잠자리가 녹색의 광택을 내면서 앉아있다. 자세히 보니 다리에 온통 털로 덮혀있다. 왜 잠자리 다리에는 털이 그리 많은 걸까? 게을러서 다리 털을 면도를 안해서 그럴까? ^^어떤 곤충은 몸에 난 털을 사용해서 소리를 감지하기도 한다. 하지만 잠자리는 다르다. 잠자리의 다리는 여섯 개인데 손가락위에 잠자리를 올려놓았다가 날개를 잡고 떼려하면 잘 안떨어지는 것을 쉽게 경험할 수 있다. 그렇다. 이 털들은 기하학적으로 아주 효율적으로 디자인된 다리와 털의 시너지를 이용해서 한번 잡은 먹이를 놓치지 않기 위한 것이다. 이 예쁘게 생긴 물잠자리는 곤충을 잡아먹는 육식 곤충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? 저 털을 자세히 보면 혐오감을 느낄 수 있다. 대부분 사람은 잠자리를 무섭다거 싫다고 생각하지 않겠지만, 자세히 들..

빛 그림/접사 2015. 5. 28. 00:05

타슈켄트 대지진의 아픔에서 회복하다

우즈베키스탄의 수도 타슈켄트1966년 4월 26일 5시 22분 타슈켄트에 진도 8의 강진이 발생해서 500여명의 희생자와 30여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. 이 지진으로 도시 대부분이 파괴되었고 구 소련은 완전히 새로운 도시로 만들었다. 이 후 이 도시는 중앙아시에서서 유일하게 지하철이 있는 근대 도시로 탈바꿈되었다. 가지런하게 들어선 건물사이로 심겨진 나무들은 더운 날씨에 청량감을 더하는 아름다운 풍경이었다. 무료 사진 사이트 http://pixabay.com/ 이 지진을 기념해서 세운 이 동상의 제목은 '용기'이다. 어려운 시련에도 가족들을 보호하는 강인한 가장은 결국 살아남아서 도시를 재건했다. 우리에게 닥치는 시련에 항복하여 무너지기 보다는 정면 대응하여 눈을 부릅뜨고 정신을 차려 이겨내야겠다. 다..

빛 그림/풍경 2015. 5. 27. 11:15

춤추며 날리는 웃음이 아름답다

우즈베키스탄으로 떠나는 날 인천공항에서는 하루 세 차례 문화 공연이 있다고 했다. 우리 일행이 막 도착한 시각에 음악소리가 들려 1층 로비에 내려가보니 태권무 공연이 있었다. 네 명의 유단자가 펼치는 박진감 넘치는 태권무도 멋있었지만, 단 한분의 홍일점 이 여자 배우의 춤은 더욱 좋았다. 항상 웃을 수 있다는 게 얼마나 좋은가?힘든 공연을 하고 있지만, 공연 내내 미소를 잃지 않고 자신의 연기를 펴치는 이 분의 전문성에 박수를 보냈다. 웃어주니 보는 사람마다 그 마음이 즐겁지 안니한가? 사람은 평생을 살아도 자신의 얼굴을 볼 수 없다. 우리는 다만 거울을 보며 반대로 비춰진 자신의 모습의 상을 보는 것 뿐이다. 나라고 여기는 나의 실제의 모습이 내가 아닐 수 있다는 생각을 해봤다. 분명히 반대로 보이는 ..

빛 그림/인물 2015. 5. 26. 12:33

추가 정보

인기글

최신글

페이징

이전
1
다음
TISTORY
Light's Writings 빛이 쓰는 글 © Magazine Lab
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

티스토리툴바